Information/with IT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특징

with_메멘토모리777 2017. 8. 1. 17:34
반응형

제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특징



요즘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18세기 증기기관을 기반으로 한 기계화 혁명 시대를 1차 산업시대라 칭하였고 19~20세기 초 전기 에너지 기반의 대량생산 혁명기를 제2차 산업혁명, 그리고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지식정보 혁명기를 제3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렀습니다. 21세기는 지능과 정보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하는 제4차 산업혁명기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이며, 이러한 4차 산업혁명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제4차 산업혁명이란?


제4차 산업혁명이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등 기존 산업과 서비스 전반에 융합되어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일컫는 말입니다. '제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는 2016년 세계 경제 포럼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산업시대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제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

제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주요 특징으로 들 수 있습니다. 즉 인간과 사물을 포함한 모든 것들이 연결되며, 현실과 사이버가 융합되고 인공지능이 사회 전반에 걸쳐 등장하게 되는 시대를 말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현실과 사이버공간의 융합을 그린 영화 메트릭스나 인공지능의 문제점을 그린 터미네이터와 같은 영화 속 이야기들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는 것입니다.



 제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는 자세

얼마전 카카오뱅크가 문을 열고 선풍적인 인기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금융과 IT기술이 결합한 이른바 핀테크의 좋은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얼마전에 있었던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인공지능 로봇인 알파고와의 바둑대결도 4차 산업혁명의 좋은 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은 의료와 IT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헬스 분야, 환경과 관련된 스마트그리드, 자동차의 자율주행 등 사회 문화 전방위에 걸쳐 융합과 혁신을 이루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인공지능전문가, 빅데이터전문가, 가상현실 전문가, 사물인터넷 전문가, 로봇윤리학자, 스마트의류개발자, 로봇개발자, 드론운항관리사, 스마트팜구축가, 의료정보분석사 등 첨단과학분야에서 다양한 일자리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단순·반복되는 노동은 로봇이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될 것이며, 혁신과 융합에 능한 창의성을 갖춘 인재가 요구되는 사회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창의적 인재육성을 위해서는 지식과 암기 위주의 교육방식에서 탈피하여 사고력 강화를 위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평생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해야만 할 것입니다.



반응형